개요
K-패스는 2023년 8월 29일, 국토교통부에서 새로운 대중교통비 환급 지원사업을 발표했습니다. 이 사업은 알뜰교통카드를 계승하는 형태로,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시민들에게 교통비 일부를 적립 환급해주는 제도입니다.

K-패스는 대중교통을 월 15회 이상 이용하는 경우, 사용한 대중교통비의 일부를 적립하여 환급해주는 교통비 절감 제도입니다. 교통비를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, 교통 혼잡을 줄이고 환경 보호에도 기여하는 이중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.
1.K-패스의 특징
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일정 금액을 적립해 환급해주는 제도입니다.
기존 알뜰교통카드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, 더 넓은 지역과 다양한 혜택을 제공합니다.
적립금 자동 계산 기능이 있어 교통비 사용에 따라 자동으로 적립금이 계산되어 환급됩니다.
환경 보호 및 교통 혼잡 완화에 기여하여 자동차 이용을 줄이고 대기 오염 감소에 도움을 줍니다.

2.적립금액
K-패스의 적립 금액은 월별 대중교통 이용 횟수와 사용 금액에 따라 차등 지급됩니다. 예를 들어:
월 15회 이상 30회 미만 이용 시: 사용 금액의 10% 적립
월 30회 이상 50회 미만 이용 시: 사용 금액의 15% 적립
월 50회 이상 이용 시: 사용 금액의 20% 적립
※ 정확한 적립 금액 및 기준은 해당 월의 총 이용 금액과 정부 정책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3.사업대상지역
K패스는 전국의 주요 대도시 및 일부 중소도시를 대상으로 시행되며, 점진적으로 확대될 예정입니다. 주요 대상 지역은 다음과 같습니다:
수도권 지역: 서울, 인천, 경기 지역의 모든 시와 군
광역시: 부산, 대구, 대전, 광주, 울산
기타: 세종시, 제주도 및 일부 중소도시의 대중교통 이용 가능 지역

4.이용방법
■K-패스 카드 발급: 가까운 은행 지점이나 온라인을 통해 K패스 카드를 발급받습니다.
■대중교통 이용: K패스 카드를 사용해 버스나 지하철을 이용합니다.
■적립금 확인: 월별 대중교통 이용 내역에 따라 적립된 금액을 확인합니다. 적립금은 자동으로 계좌로 환급되거나, 다음 달 교통비로 사용 가능합니다.
■추가 혜택 확인: 가맹점 할인 및 포인트 적립 등 추가 혜택을 제공하는 경우도 있으니, 사용 전에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.

5.카드종류
K-패스는 다양한 카드사와 제휴를 통하여 여러 종류의 카드를 제공되고 각카드사마다 제공하는 혜택이 다릅니다.
5-1신용카드형 K-패스
◎특징: 신용카드로 발급되며, 대중교통비 결제 시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.
◎혜택: 대중교통비 환급과 더불어, 카드사의 일반 신용카드 혜택(포인트 적립, 마일리지, 추가 할인)도 제공.
◎대상 카드사: KB국민카드, 신한카드, 삼성카드, 롯데카드 등
5-2체크카드형 K-패스
□특징: 직불카드(체크카드)로 발급되며, 대중교통비 사용액의 일부를 환급해 줍니다.
□혜택: 은행 계좌와 연결되어 있어, 사용한 금액만큼 실시간으로 차감됩니다. 적립금은 월별 정산되어 계좌로 입금되거나 대중교통비로 재사용 가능.
□대상 카드사: NH농협카드, 우리카드, 하나카드, IBK기업은행 카드 등

5-3모바일 카드형 K패스
□특징: 모바일 앱을 통해 발급되는 형태로, 스마트폰에 설치하여 교통카드처럼 사용 가능합니다.
□혜택: 실물 카드 없이 모바일 기기를 통해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, 모바일 전용 혜택이 추가 제공되기도 함.
□대상 카드사: 카카오페이 카드, 삼성페이 교통카드, 네이버페이 교통카드 등

◆각 카드 종류에 따라 대중교통비 적립 및 환급 비율, 추가 혜택(예: 주유비 할인, 영화 할인 등)이 다르므로, 사용자는 본인의 소비 패턴에 맞는 카드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.
각 지자체별 K-패스